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1

TIL - 20/03/23 (React router 중첩 라우팅) 오늘 한일 중첩 라우팅에 대해 찾아보았다. https://www.daleseo.com/react-router-nested/ React Router로 중첩 라우팅 하기 지난 포스트에서 React Router로 기본적인 라우팅 방법을 다루었습니다.이번 포스트에서는 React Router로 중첩 라우팅을 구현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중첩 라우팅이란?중첩 라우팅(Nested Routing)이란 라우팅 맵핑을 최상위 컴포넌트 뿐만 아니라 여러 개의 컴포넌트에 걸쳐서 단계별로 정의하는 라우팅 기법입니다. 예를 들어, 브 www.daleseo.com 하지만 실제로는 막상 중첩 라우팅을 사용하지 않고 적용시켰다. 현재 내 url이 가령 http://localhost:3000/solve/영어단어/4 라고 한다.. 2020. 3. 23.
에듀캐스트 How to startup 2강 (창업의 4가지 요소) - part 2 (폴 그레이엄) 정리하면서 다시 봐도 정말 주옥같은 내용이 많다. 이런 식의 내용은 뜬구름잡기 식이 되기 쉬운데 엄청 실용적이다 못해 어떻게 해야할지의 과정이 머리속에 그림으로 그려질 정도이다. 조자룡이 가지고 있던 복주머니같이 스타트업 관련 일을 해야 할 때마다 읽고 명심하면 좋은 내용들이라 생각한다. 3. Team 공동창업자 사이의 관계가 가장 중요 망하는 이유 중에 공동창업자 사이 관계 틀어지는 이유가 가장 많음. 오랫동안 알지 못한 사람이나 잘 모르는 사람 하면 안됨. --> 위기때 서로를 묶어줄 둘간의 역사가 같이 없는 사람과 같이 일하면 안됨. 고용할 때도 마찬가지. 대학에서 찾거나 구글/페이스북같은 데서 일하면서 찾기 혼자 창업하는 것도 별로임. YC top 20개 중 혼자 창업한것 없었다. "거침없는 전략.. 2020. 3. 23.
코드스테이츠 flex immersive 코스 1기 수강 후기 코드스테이츠는 코딩 교육을 하는 부트캠프이다. 부트캠프라고 하면 그게 뭐지? 하고 어리둥절하게 느낄 사람들이 있을 것이다. bootcamp의 사전적 정의는 신병훈련소인데 코드스테이츠도 딱 그런 느낌이다. 개발자가 되고자 하는 사람들을 여럿 모아놓고, 1주마다 과제를 내어주며 수강생들은 그 강의를 학생들끼리 협업해서 혹은 독자적으로 풀게 된다. 일반 학원에서는 학생들에게 학습자료를 내어주고, 학생은 그 학습자료를 익히는데 집중한다면, 코드스테이츠는 1주마다 아주 기본적인 마중물 역할의 자료나 강의만 내어주며, 이외에 과제를 해결해나가는 부분은 학생들끼리 알아서 한다는 점이 학원과 차이점이다. 상투적이지만 물고기를 잡아주는 게 아니라 그물망 하나만 주고, 알아서 잡아오라는 식이다. 그렇기 때문에 학생의 열정.. 2020. 3. 21.
에듀캐스트 How to startup 1강 (창업의 4가지 요소와 동기) - part 1 아래 내용은 에듀캐스트에 있는 How to startup 강의를 듣고 요약한 내용이다. idea product team execution 운 idea --> product --> company 부자가 되기 위해 스타트업 X. 해결하고픈 문제가 있고, 이걸 해결할 방법이 스타트업 밖에 없을 때 해야 함. 1. idea 최근에 idea는 너무 경시됨. 계속 일과중에도 떠오르는 것이 좋은 아이디어. 사명감이 들 아이디어. 독점할 수 있는 분야에서 시작이 좋다. 작은 시장에서 시작해서 확장 why now ? 왜 2년전에는 불가능했고, 2년전에는 늦을까 ? 내가 필요해서 만드는 거면 베스트. 대개 좋은 아이디어는 다른 사람들이 잘 몰라봄. 그때 내가 이러이러해서 좋은 아이디어야 라고 설명해서 다른 사람들이 납득하.. 2020. 3. 16.
코드스테이츠 프리코스 7주차에 접어들면서 소감 (2018.12.25 글 옮김) 어느덧 벌써 프리코스의 막바지에 들어서게 되어 끝나기 전에 소감을 한번 남기려고 한다. 가장 먼저 드는 생각은 프리코스를 듣기로 해서 다행이다이다. 그간 여러 번 코딩에 집중하려 했으나 사회생활을 하며 챙길 것들이 많다 보니 쉽지 않았다. 또한 간신히 의지를 부여잡고 공부를 시작해도 중간에 막히는 경우가 많아 독학으로 진행해 나가는 것이 힘겨웠다. 하지만 프리코스를 하면서 1주 단위로 과제와 수업들을 따라가다 보니 코딩에 시간을 많이 쓸 수밖에 없었고, 다른 사람들과 함께 어려움을 공유해가며 서로 물으며 하다 보니 힘든 시간들을 견뎌내며 코딩에 온전히 집중하게 되는 시간들을 보내고 있다. 해가면서 느끼지만 프리코스가 결코 만만치 않다. 사실 프리코스는 주3회 코스이고, 코스의 내용들이 기존 생활코딩 등에.. 2020. 3. 16.
코드스테이츠 프리코스를 2주째 수강하며 느낀점들 (2018.11.15의 글 옮김) 코드스테이츠 프리코스를 2주째 수강하며 느낀 점들을 적어본다. 원래 코딩 공부를 혼자 한지는 몇개월이 되었을거다. 만들고 싶은 아이디어는 많은데 구현할 능력은 없어 괴로워 하던 중 프로그래머인 친구에게 물어 파이썬이라는 언어를 공부하기 시작했다. 우선 파이썬의 기본 규칙은 인터넷을 통해 쉽게 배웠다. 하지만 이후 웹개발을 위해 파이썬의 web framework인 django를 배우던 중 알기 쉽게 풀이된 자료가 없어 독학 중 포기하고 말았다 ㅠㅠ 포기하는 과정도 수주에 걸쳐서 질척거리면서 했는데, 쉽게 포기하지 않는 성격탓에 온갖 스트레스를 받을 대로 받고 너덜너덜 해지 고나서야 포기했다. 이후부터 코딩이라고 하면 뭔가 나에게는 벽 같은 느낌… 스트레스로 먼저 다가오곤 했다. 흔히 한국인들이 영어를 통곡.. 2020. 3. 16.